전체 글 (40)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간 회고 2 (2023/12/9-2023/12/15) 대전 친구네 놀러가다 대전에 사는 친구 O훈이 집에 놀러갔다. 해병대에서 만난 친군데 잘 살고 있었다. 부모님이 농업 종사자라, 어렸을 때부터 농사를 도우며 공부를 열심히 하더니만 서울시립대, 지금은 카이스트에 박사 과정 막바지이다. 보건학과라던데 정말 열심히인 친구다. 서울시립대 교수를 하면서 작은 술집 하나 운영하는게 꿈이라는데 대학원생들에게는 주류를 무료로 푼다고 한다. 낭만이다. 자기가 얼마나 힘든지 아니까, 대학원 친구들한테 베풀고 싶은 마음이 있나보다. 친구가 술을 참 좋아하기도 한다 ㅎㅎ 그런데 서울시립대 교수가 되려면, 해외 연구 실적이 중요해서 미국 쪽에 진출할 생각도 있다고 한다. 나도 해외 MBA를 고려중이라 그런지 정말 반가웠다. 집에 가니, 하이볼도 타주고 재워도 줬다. 같이 서울.. 주간 회고 1 (2023/12/2-2023/12/8) 주간 회고를 써 보기로 하다. 각 잡고 앉아서 주간 회고를 해 보기로 한다. 내 삶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지만 금세 옅어진다. 누구나 각자 다른 삶을 살아간다. 내 삶 또한 남들과 같지 않지만, 내가 생각하는 방식이나 기록들이 누군가에겐 참고가 될 수 있진 않을까 생각해본다. 설사 내 실패의 경험이라도 말이다. 일을 그만둘 준비 2023/12/15, 곧 다니고 있는 일을 그만두게 된다. 카카오뱅크에서 진행하는 SI 프로젝트 일인데, 철수 일자가 다가왔다. 7.5개월이 짧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새로운 사람들도 사귀고, 프로젝트로 파견되어 한 일이 이번이 처음이라 재밌었다. 일에 대한 자세한 회고록은 Brunch에 적어볼까 생각하고 있다. 글을 쓰는 것은 에너지가 많이 들지만, 꼭 해야하는 일이란 생..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후기 PM 강의를 신청하게 된 이유 내가 PM 강의를 신청하게 된 이유는 꽤나 정교한 이유가 있었다. 내 진로에 대한 고민의 답이 PM이였기 때문이다. 나는 첫 직장을 옥외광고사에서 현수막, 간판을 디자인하고 출력하는 일을 했다. 일러스트, 포토샵 등을 잘 다루게 됐고 그 후 군대에 다녀와 대학을 졸업하고 산학협력단 교수님의 도움으로 창업에 도전했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주는 서비스가 콘텐츠였고 그 때 역량 부족으로 좌절을 맛봤지만, 스스로 하나의 서비스를 기획하고 운영하고 종료하는 과정을 겪어본 갚진 경험을 만들었다. 이후에 교육업체에서 교재를 만들고 교보재 디자인을 하는 업무를 1년 반 동안 했다. 금융교육 스타트업으로 이직하여 교육 콘텐츠(보드게임, 플래시게임 등)을 기획하고 교육을 운영하는 업을..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Ch 05. 서비스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01. 전체 서비스기획 프로세스 살펴보기 서비스 기획의 프로세스를 상세히 풀어주셨다. 오늘은 피곤해서 그런지 잘 들리진 않았다. PRD, IA 등 생소한 용어들이 나와 이런 부분들 더 공부하고 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PRD: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s 제품을 만들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 작성을 통해 개발팀 및 이해관계자가 제품의 요구 사항을 확 sunfromkr.tistory.com 02. 목표 설정 목표설정방법: OKR(Object & Key Results, 목표 & 핵심결과지표) - Objective(목표): 달성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목표' - Key Result(핵심 결과).. IA(정보구조도) IA(Information Architecture) 웹/앱 구축 시, 필요한 화면과 메뉴의 정보 구조를 설계 & 정의하는 문서로 화면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 프로덕트의 핵심 기능을 정리하고 핵심 기능을 받쳐주는 서브 기능을 거시적 관점에서 한 눈에 볼 수 있음 - 작업 범위 및 흐름에 대한 컨센서스 (타 부서와의 협업)에 도움이 됌. 예시) 새내기 PM의 네 걸음, 'IA와 기능정의서' "어떻게 생긴 서비스가 될까?" | 사용자 리서치에서 벤치마킹까지 거쳐오며 기초 재료를 모았고 이제는 스케치를 할 차례이다. 처음 기획 업무를 시작할 때 '왜 이렇게까지 작성해야 하는 문서가 brunch.co.kr 웹, 모바일을 위한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안녕하세요, Jlig..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PRD: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s 제품을 만들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 작성을 통해 개발팀 및 이해관계자가 제품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개발에 착수한다. - 사용자의 문제 및 비즈니스 우선순위 결정의 근거가 포함된다. - 해결 방안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추가하면 좋다 - UX 디자인 문서를 포함한 기능을 구축한다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의 모든 것ㅣ뜻, 작성 방법, 포함 요소 - 코드스테이츠 공식 블로그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는 제품을 만들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문서로,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필수적인 문서입니다. PRD 정의와 작.. 배치 & 온라인 프로그램 배치 프로그램(Batch Processing)개별적으로 어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것이 아닌, 한꺼번에 일괄적으로 대량 건을 처리하는 것 - 대량건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 특정 시간에 실행된다. - 일괄적으로 처리한다. 예) 업무시간 9:00-18:00에 트래픽이 몰리는 시간을 피해 매일 새벽 4시마다 우체국의 최신 주소 DB를 가져오는 시스템 온라인 프로그램- 온라인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동작한다.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입력을 받고, 즉시 결과를 출력한다. - 사용자와의 실시간 대화나 데이터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예)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앱 등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됨 각각의 프로그램은 목적과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되며, 배치 프로그램은 대량의 데이터 ..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