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전체 서비스기획 프로세스 살펴보기
서비스 기획의 프로세스를 상세히 풀어주셨다. 오늘은 피곤해서 그런지 잘 들리진 않았다. PRD, IA 등 생소한 용어들이 나와 이런 부분들 더 공부하고 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PRD: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s 제품을 만들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 작성을 통해 개발팀 및 이해관계자가 제품의 요구 사항을 확
sunfromkr.tistory.com
02. 목표 설정
- Key Result(핵심 결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 Feedback(피드백)
- Recognition(인정)
강의 내용이 너무 간략해 제대로 적용하려면 다 따로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OKR에 대한 책을 읽었던 경험이 있어 어떻게 다른지 대략적으로 아는 내용이 많았고 그래서 그런지 아쉬웠다. 그래도 추천해준 책들을 읽으면서 목표 설정을 하는 법에 대한 감을 잡아야겠다. 본 강의는 길잡이 역할이며, PM으로서 어떤 것을 공부해야 하는지 제시해 준다는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된다.
03. 제품로드맵 작성
제품로드맵: 시간 경과에 따라 제품/서비스 또는 팀의 비전, 방향, 우선순위에 따라 어떻게 진행되는지 나타내는 문서
대상과 종류
- 내부 제품을 만드는 팀, 영업팀을 위한 내부 로드맵, 경영진을 위한 내부 로드맵 대상
- 이해관계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
TOOL 소개 (제품 로드맵 소개)
Product Roadmap Software | ProductPlan
Go-to-market Win the launch, win over your customers Create thoughtful launch strategies that your entire team can get behind. Build tailored plans, assign due dates, assess progress, all while creating shared ownership of your go-to-market process. Learn
www.productplan.com
Aha! Roadmaps — Best Roadmap Software (Get Started for Free) | Aha!
Aha! Roadmaps is the complete product management solution — set strategy, prioritize features, and share visual plans. Sign up for a free trial and build a beautiful roadmap today.
www.aha.io
Miro | 혁신을 위한 비주얼 워크스페이스
Miro는 팀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제품을 디자인하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혁신을 위한 비주얼 워크스페이스입니다. 전 세계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함께하세요.
miro.com
Marimba | Online Whiteboard Collaboration Tool
Marimba, your best real-time online whiteboard collaboration tool for a better, easier, more visual team work. Start a free trial today to create flowcharts, mindmaps, org charts, and diagrams using our templates!
www.marimba.team
Figma Community: Explore templates, plugins, and widgets published by the community
Explore, install, use, and remix thousands of templates, plugins, and widgets published to the Figma Community by designers and developers
www.figma.com
로드맵의 경우, 일러스트나 한글 파일을 활용하여 작성하곤 했는데 Roadmap 제작을 도와주는 많은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시간될 때 하나씩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둘러봐야겠다.
04. 요구사항 정리 - PRD
[RPD] 개요
- 제품/서비스가 왜 필요한가?
문제 정의: 어떤 문제가 시장에 존재하는지?
목적 및 배경: 서비스의 명분, 및 시장과 관련성
주요 사용자(고객): 서비스 예상 고객, 유입 가능 고객, 페인포인트 기재
유저 스토리/유저 저니맵: 고객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들을 인식하고 서비스에 반영
사용자 가치: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명확히 기재
개발 원칙: 필수 개발 우선순위를 정한다.
[PRD] 기회 및 임팩트 작성하기
- 앞선 모든 조사 내용을 적극 활용
- 시장 상황, 통계자료, 트렌드 활용
- 경우에 따라 SWOT, STP 활용
- 수익구조
- 가설과 가설검증 지표 작성
- 임팩트 예측 (사용자가 얻는 가치)
[RPD]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마일스톤, FAQ 작성
- 제품/서비스의 최소한의 기능을 정의
- 구체적인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기술
- 마일스톤(서비스를 개발하는 일정) 작성
- FAQ (QnA): 예상되는 질의응답 내용을 미리 담아 공유한다.
[RPD] 관련 템플릿
Notion (노션) 템플릿 갤러리: 간단 PRD(제품 요구 사항 정의서)
프로덕트 매니저와 디지털 제품을 개발하는 팀에게 필수적인 제품 요구 사항 정의서입니다. | 업무와 일상에서 Notion (노션)을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알아보세요.
www.notion.so
강의 재밌다. 쑥쑥 훑어보자. 아는 것과 아는 것을 실무에 활용하여 체화하는 것은 다르니, 가볍게 훑어보는 것을 먼저하고 나중에 적용까지 이어가 보자 화이팅!
05. 프로젝트 일정관리 - WBS
[WBS] 사례 및 구성요소
- 간트 차트 형태의 일정 구성
- 담당자, 시작일 및 종료일 기재
- 프로젝트의 규모가 클수록 공유받는 사람이 많아짐.
지금 일하는 데서도 WBS를 작성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는데, LG CNS에서는 오케스트라라는 자사 협업툴을 활용하여 진척관리를 한다. MONDAY같은 앱이다. 아마 JIRA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지 않을까 싶다. 실시간으로 진척관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따로 배워야겠다.
06. 제품 설계(1) - IA
UX 작업 전 선행되어야 하는 기초 작업.
- 서비스 구축의 기본이 되는 설계 구조도
- 서비스의 기능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화면의 상하구조 파악에 도움이 됌.
1. 계층 구조(TREE)
2. 탭 구조
3. 허브 앤 스포크 패턴
4. 벤토박스 (Dash board)
5. 기타
정보구조도를 문서화(엑셀) 하는 예제
마찬가지로 익숙한 문서들이다. 협업을 위해 정말 다양한 종류의 소통 도구가 필요함을 많이 느끼고 있다. 상황에 맞게 골라 쓰려면 많이 알수록 유리하다.
07. 제품 설계(2) - 와이어프레임
- 앱/웹 서비스를 만들 때 동선,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화면 설계도
- 디자인 요소가 들어가기 보다 선(Wire)을 이용해 윤곽(Frame)을 잡는 것
- 디자이너, 개발자 등과 의사소틍을 위한 수단
- 기획자의 요구사항, 서비스 기능 요소를 모두 파악하여 전략적 설계 필요
[WireFrame] 사례 및 구성요소
- 화면에 어떤 정보가 나타나야 하는지?
- 어떤 레이아웃, 모습을 보여주는지?
- 세부 콘텐츠가 있다면 어떻게 표현되는지?
- 다음 화면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 공통영역(내비게이션, 푸터 등)은 적절한 기능을 하는가?
*프로토타입은 UI/UX의 실험을 위한 동적 인터페이스로 출시 전 소비자 경험 테스트 등을 할 수 있다. 와이어프레임과 다름.
와이어프레임을 보니, 예전에 창업했을 때 화이트보드에 치열하게 UI/UX에 대해 고민하며 그렸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그 떈 요구사항정의서나 기능분해도 작성없이 그냥 와이어프레임을 그리면서 함께 생각했던 것 같다. 그리고 추천해준 Adobe XD, Zeplin, Figma 중에선 Figma가 제일 난 것 같다.
08. 제품 설계(3) - 스토리보드, 상세기획
스토리보드 = 상세기획서 = 화면설계서
카뱅의 화면설계서를 본 적이 있는데, 그것보다 더 큰 범주인 스토리보드의 사례를 보아 좋았다. 실제 사례와 예시를 제시해 주어 좋았다.
09. 테스트
1. 분석: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의 방향과 목표 설정 (시장 / 경쟁사 / 고객 분석)
2. 설계: 서비스의 기능 설계 (PRD, Wireframe, Storyboard)
3. 개발: 디자인과 개발
4. 테스트: 개발이 완료된 기능에 대해 잘 동작하는지 Test
5. 오픈 및 운영
1. 사전 기능단위 테스트 (PM, 개발자)
2. 개발 서비스 전체 동선을 살피는 QA 과정 Test (품질 전문가)
=> 산출물을 리뷰하여 전달하면 QA에서 내용 분석
=> 테스트 범위 선정(Android, Apple, Desktop, Tab) & 호환성(Chrome, 등) Etc
우리 프로젝트에서 Lena가 고생하여 만든 문서들이 생각났다. 역시 이론은 실무와 함께 하면서 배우는게 직빵인 것 같다.
10. 서비스 오픈
오픈 전
- 최종 QA 및 테스트 결과 확인
- 서버, 앱 배포 일정, 배포 시나리오 확인
- 마케팅/프로모션 확인
- 고객센터 및 유관부서 업무매뉴얼 작성 및 서비스 오픈 공유
- 서비스/제품 설명 문구 확
오픈
- 오픈 이후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 진행하기
- 모니터링
오픈 후
- 고객센터, 앱스토어 리뷰 등에 올라오는 CS 대응 및 개선 포인트 찾기
- 지속적인 서비스 로그 모니터링
- 서비스 주요 지표에 대한 확인하기 (일별, 주별, 월별 지표 분석 등)
11. 회고 방법론 - KPT
마림바 KPT 회고 템플릿
KPT 회고와 타임라인 회고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액션아이템 도출까지 이어져야 함.
회고 진행자의 역량에 따라 회고 분위기가 달라진다.
재밌다. 적용해보고 싶다.
'문화 >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싹X러닝스푼즈] IT 서비스 기획 3기 서류전형/Level Test/면접 후기 (0) | 2023.12.19 |
---|---|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후기 (1) | 2023.11.15 |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Ch 04. UI/UX (0) | 2023.09.26 |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Ch 03. 사용자 & 서비스 분석 (Part1. 개론) (0) | 2023.09.24 |
[패스트캠퍼스] PM 강의 - Ch 02. 마켓 리서치 (Part1. 개론) (0) | 2023.09.23 |